“밖에서는 한 후보를 ‘배신자’라고 부른다.” 4월 25일, 국민의힘 1:1 맞수 토론장.화기애애한 인사말이 채 끝나기도 전, 긴장감이 감도는 발언이 튀어나왔다.한동훈은 팩트와 논리로 무장했고, 홍준표는 직설과 감정으로 맞섰다.그 중에서도 단연 시선을 끈 건 바로 이 단어 — ‘배신자’. 이 한마디는 단순한 비난이 아니었다.정치적 낙인이자, 정체성을 건 감정의 프레임 전환이었다. 이 글에서는 홍준표가 왜 이 단어를 꺼냈는지,그리고 한동훈이 왜 유머와 침묵으로 반응했는지를 심리학적으로 풀어본다. 리더의 감정 표현은 전략일까, 본능일까? ※ [다음 이야기: “한동훈 vs 홍준표 토론에서 드러난 성격 차이, 논리 대 직감, 누가 더 설득력 있었나”] ● 이 글에서 살펴볼 내용‘배신자’ 프레임이 작동한 이유발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