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월 25일, 국민의힘 1:1 토론에서 벌어진 한동훈과 홍준표의 정면충돌.
두 사람은 같은 당에 속해 있지만, 말하는 방식도, 반응하는 감정도, 설득의 전략도 전혀 달랐다.
한동훈은 조각처럼 정제된 문장으로 상대를 몰아붙였고, 홍준표는 감각적인 표현과 직설로 분위기를 흔들었다.
이 글은 그들의 말과 태도 속에 숨겨진 성격 차이를 통해, 우리가 어떤 리더에게 더 끌리는지를 되묻는다.
‘정치는 결국 말이다.’ 그렇다면, 논리로 말하는 사람과 직감으로 말하는 사람 중 누가 더 강력한 설득력을 가졌을까?

● 이 글에서 살펴볼 내용
- 한동훈과 홍준표의 토론 스타일 차이
- 말투, 감정 표현, 리더십 전략 비교
- 성격 5요인(Big Five) 기반 분석
- 정치적 설득력은 어디서 오는가?
- 당신은 어떤 리더에게 더 끌리는가?

1. 한동훈: 구조로 말하는 사람
사례① – 정보로 압박하기
한동훈: “2023년 11월 18일자 인터뷰에서, ‘지도부 책임 없다’고 하셨습니다. 당시 당 상황과 충돌하지 않습니까?”
포인트: 날짜, 발언, 맥락을 정확히 제시하며 상대의 발언 신뢰도를 해체하려 한다.
성격 해석:
- 성실성↑: 팩트 중심, 준비된 발언 구조
- 우호성↓: 감정 표현 최소화, 직설적 언어
- 신중성↑: 예상 반응까지 계산된 설계형 화법
심리적 전략:
- 상대를 무너뜨리기보다 청중의 신뢰를 얻는 데 초점
- 말은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, 핵심은 구조와 논리의 안정감

2. 홍준표: 감으로 직진하는 리더
사례② – 감정 중심 직설 발언
홍준표: “왜 그렇게 깐족대는 말투로 정치를 하느냐.”
이 발언은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, 상대의 스타일을 정치적으로 문제삼는 시도다.
즉, 논쟁의 방향을 내용 → 태도로 전환시킨다.
성격 해석:
- 외향성↑: 감정 노출, 즉각 반응
- 우호성↑: 다소 공격적 언어지만, 대중과의 친근감 중시
- 개방성↑: 비표준 언어 사용, 맥락 유연한 해석 시도
심리적 전략:
- 설득보다 지지층 결집과 감정 동조 유도
- 토론을 정책이 아닌 정체성과 스타일 대결로 전환
3. 설득력의 본질은 어디서 오는가?
사람은 논리에 설득당하기보다, 공감과 감정에 반응한다는 말이 있다.
하지만 정치적 리더십에서는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.
사례③ – 정면 비교 장면
한동훈: “그건 제 의견이 아니라, 당 공식 입장입니다.”
홍준표: “그 공식이라는 게 대통령 직할 비대위 아닙니까?”
여기서 한동훈은 권위와 체계를 인용하고,
홍준표는 직관과 현실감을 근거로 반박한다.
이 장면이 보여주는 설득의 두 축:
- 한동훈: 체계, 일관성, 신뢰
- 홍준표: 감각, 대중성, 현실 공감
4. 당신은 어떤 리더에게 끌리는가?
항목 | 한동훈 | 홍준표 |
화법 | 정제된 논리, 팩트 기반 | 직관적 감정, 체험 기반 |
전략 | 신뢰 설계 | 감정 유도 |
말투 인상 | 냉정, 단호 | 직설, 즉흥 |
핵심 강점 | 구조적 설득력 | 공감 기반 설득력 |
결국 선택의 기준은 이 질문에 있다.
당신은 ‘정확한 사람’을 원하나, ‘내 편 같은 사람’을 원하나.
관련글로 이어보기
- [“한동훈 vs 홍준표 토론, ‘깐족댄다’는 말 속에 숨은 심리전의 본질은?”]
- [“홍준표는 왜 한동훈을 ‘배신자’라 불렀을까?|1:1 토론 속 감정표현의 심리학”]
- [냉정한 리더는 무엇을 숨기고 있나? 한동훈의 방어기제 심리 분석]
- [직설은 무기인가 방어인가? 홍준표 화법의 자기개념 심리 분석]
- [한동훈 vs 홍준표, 말 속에 감춰진 심리는 얼마나 다른가]
결론: 논리 대 직감, 당신의 선택은?
이 토론은 단순히 누가 말을 잘했는지를 가리는 자리가 아니었다.
리더로서의 언어는 무엇이어야 하는가, 그 질문이 숨어 있었다.
한동훈의 언어는 체계와 질서를 설계하고,
홍준표의 언어는 직관과 감정을 흔든다.
국민의힘의 차기 대선 주자,
과연 어떤 스타일의 정치인이 더 많은 사람을 끌어당길 수 있을까?
그리고, 당신은 어떤 리더에게 설득당하고 싶은가?
'심리학으로 읽는 인물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재명은 공감하는가, 스스로 사랑하는가: 심리학으로 본 리더십의 경계 (0) | 2025.04.28 |
---|---|
이재명의 어린 시절 결핍이 만든 심리 방어기제: 성장 심리 분석 (0) | 2025.04.27 |
홍준표는 왜 한동훈을 ‘배신자’라 불렀을까? 1:1 토론 속 감정표현의 심리학 (0) | 2025.04.26 |
한동훈 vs 홍준표 토론, ‘깐족댄다’는 말 속에 숨은 심리전의 본질은? (1) | 2025.04.26 |
관료 출신 한덕수의 심리, 정치권의 공격을 견디고 대권에 도전할 수 있을까? (0) | 2025.04.25 |